목록Programming/기타 (3)
차근차근

명령어 가끔 까먹을 때 있어서 정리해두는 목적 ★ git 초반 설정, 업데이트1. git remote -v- 깃허브 주소와 연동 됐는지 확인하기(?)만약 이게 되있지 않다면git remote add origin [repository 주소] 해서 연동하기! 2. git status- 현재 상태 확인하기 3. git add .- 현재 상태를 인덱스에 추가 ! 이때 등록이 안된다면잘못된 곳에서 git을 시도했을수도 있으므로dir(window 터미널 명령어)로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확인해보기! 4. git commit -m "second commit" - 현재 상태 저장 5. git push- 올리기 ! 사용자 등록이 안돼있을 수 있으므로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 이름"gi..

오늘 한 건 Paintbox 클론 코딩! 이번에 하면서 습득한 건 1. 안된다면 div를 써라(?) 2. 반응형은 grid 일단 나는 position: relative를 안 써봤다. 그래서 창 크기 줄일때마다 사진이 짜부되는 게 굉장한 스트레스 였는데 grid는 요소마다 비율을 지정할 수 있다! flex도 요소마다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정도를 정할 수 있지만 여러 자식이 있을 때 이 자식들이 같은 비율로 줄어드는 건 못하더라.. 50%를 주거나하면 어떻게 될 것 같은데 그냥 grid에서 1대1 주는 게 맘이 편하다 ( ´△`) grid를 준다고 하더라도 창이 많이 줄었을 때 짜부되는 건 막을 수 없더라.. (사이트 보니까 창 크기가 어느정도 줄면 여백이 바뀐다던가 레이아웃이 다르더라 이것도 다 만들어야겠지..

니꼬쌤 강의의 CSS Layout 마스터클래스의 첫 번째 클론코딩! Best Horror Scenes 사이트를 클론코딩했다. 일단 이번 강의에서 한 부분은 처음에 reset.css로 먼저 리셋 해주는 것 * { box-sizing: border-box; } 를 기본으로 해두는 거! box-sizing은 요소의 높이와 너비를 계산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건데, content-box는 너비가 100px일때 테두리와 안쪽 여백이 여기서 더해진다. border-box는 테두리와 안쪽 여백 + 안의 크기를 100px로 만든다. header (고정 되있는 부분)의 요소들은 display: flex로 한다. flex로 하면 column으로 세로로 정렬되게 할 수 있고 justify-content로 요소 사이에 간격(?)..